본문 바로가기
잠다한이야기/경제

1월7일 일본 닛케이지수는 중국發 악재로 급락, 18,000엔선 아래로 밀려남.

by mywarmstory 2016. 1. 8.

1월7일 일본 닛케이지수는 중국發 악재로 급락, 18,000엔선 아래로 밀려남.



 밤사이 뉴욕증시가 중국, 북한, 중동 불확실성 및 국제유가 급락 등으로 1% 넘게 하락 했다는 소식에 이날 닛케이지수는 18,139엔선에서 내림세로 출발했습니다. 이후 위안화 가치가 큰 폭으로 절하된 가운데, 중국 증시가 또 다시 폭락세를 보이자 지수는 낙폭을 크게 확대해 결국 17,788엔선에서 장을 마감했습니다. 중국 인민은행은 이날 위안화 고시환율을 달러당 6.5646위안으로 고시. 이는 전일대비 0.51% 가량 평가 절하한 것으로 하루 절하폭으로는 지난 8월 이후 최대치입니다. 이 같은 소식에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개장한 지 30분도 안돼 7% 넘게 폭락하면서 서킷브레이 커가 발동, 올해 들어 두번째 조기 폐장. 이날 상해종합지수는 7.04% 폭락한 3,125.00 P로 조기 폐장. 업종별로는 모든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복합산업, 금속/광업, 자동차, 기술/장비, 보 험, 화학, 은행/투자서비스, 에너지, 산업서비스, 운수, 의료 장비/보급 업종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종목별로는 노무라홀딩스와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그룹이 2.68%, 2.61% 하락했으며, 도시바와 히타치도 3.00%, 2.64% 하락했어요. 혼다자동차와 도요타자동차도 3.08%, 2.61% 하락했으며, 소니와 샤프도 3.49%, 2.54% 하락했어요. 소프트뱅크도 2.34% 하락했으며, 인펙스홀딩스와 스미토모화학도 5.18%, 3.82% 하락했어요. 마감지수 : 닛케이225 17,767.34엔(-423.98엔/-2.33%) 




 최근 일본증시는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중국 증시 불안감, 국제유가 하락세 지속 등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다만, 미국 점진적 금리인상 기대감 및 TPP 협상 타결, 추경 예산 기대감 등은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한편, 일본은행(BOJ)은 12월18일 정례회의에서 본 원통화를 연간 80조엔씩 늘리는 현재 정책을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다만, 현재 3조엔인상 장지수펀드(ETF) 매입 프로그램에 3,000억엔(약 2조9,100억원)을 추가했으며, 금융기관으로부터 ETF를 매입하는 완료 기간을 10년 연장하고 현재 보유한 일본 국채 평균 잔존만기를 기존의 7~10년에서 내년부터 7~12년으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증시내 수출기업 비중이 높은 국내증시와 일본증시는 중-장기적으로 세계 경기흐름과 연동되어 비슷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호간 영향력은 다소 줄어들었으나 증시구조 및 산업구조가 과거에 비해 점진적으로 비슷한 양상으로 변화. 전체적인 지수흐름은 타 증시에 비해 매우 유사한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는 추세. 일본 증시는 아시아 역내 증시를 견인하는 선도시장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중장기적 관점의 연동성은 지속되었습니다. 




 자동차 - 현대차, 기아차, 쌍용차, 현대모비스 등 전기전자 대표주 - 삼성전자, LG전자, LG디스플레이, 삼성SDI, SK하이닉스, 삼성전기 등 은행 – KB금융, 신한지주, 우리은행, 하나금융지주 등 철강 - POSCO, 현대하이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NI스틸 등 반도체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주성엔지니어링 등 



반응형